2018년 9월 15일
제 109회 길 위의 인문학 - 강릉에서 만나는 한국의 詩,書,畵
韓國畵의 분류
1. 표현대상에 따른 구분
- 산수화(山水畵): 자연경관 중 특히 산과 물을 소재로 한 풍경화
- 인물화(人物畵): 인물을 소재로 그린 초상화 등의 그림
- 풍속화(風俗畵): 사람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 士人風俗圖와 庶民風俗圖로 나눔.
- 십장생도(十長生圖): 민간신앙 이나 도교에서 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가지, 즉, 사물 4가지 日•月•山•川, 동물 3종류 龜•鹿•鶴,
식물 3종류 松•竹•芝 (不老草). 혹은日•山•水•石•雲, 松•竹•芝•龜•鶴 그림
- 사군자도(四君子): 매화(梅花)•난초(蘭草)•국화(菊花)•대나무(竹) 그림
-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 살림살이도구들(器皿)과 식물들(折枝) 정물화
- 화조도(花鳥圖): 국화, 모란, 연꽃, 매화, 석류 및 오동나무 등의 식물을 찾아 든 한 쌍의 봉황,원앙,꿩,물오리가 오브제인 그림
- 영모도(翎毛圖): 새 깃과 동물의 털. 즉 날짐승과 길짐승 그림
- 어해도(魚蟹圖) 또는(漁樂圖): 물고기와 게 등의 물짐승을 주제로 한 그림
- 초충도(草蟲圖): 풀과 벌레를 소재로 그린 그림
- 화훼화(花卉畫): 꽃과 풀을 오브제로 그린 그림
2. 먹과 색에 따른 구분
- 수묵화(水墨畵), 수묵담채화(水墨淡彩畵), 수묵채색화(水墨彩色畫), 채색화(彩色畫)
3. 문인화 표현방식에 따른 구분
- 북종화(北宗畵): 점오(漸悟)사상 바탕, 기법의 완성도로 휘호자(揮毫者)의 정신세계 측정
- 남종화(南宗畵): 돈오(頓悟)사상 바탕, 휘호자의 정신을 나타내는 방법으로서의 회화
작화(作畵)의 기초
1. 집필법(執筆法 - 筆洗)
- 현완(懸腕): 팔꿈치를 종이나 탁자 등에 대지 않는 것
- 직필(直筆): 붓을 곧게 쥐는 것
- 중봉(中鋒): 붓 끝이 글자의 점획 중간에 오도록 하는 것
2. 용필법(用筆法)
- 직필(直筆=中鋒): 藏鋒으로 강하게 運筆
- 측필(側筆=側鋒): 露鋒으로 부드럽게 運筆
- 타필(拖筆=拖鋒) : 臥筆로 밀어내듯 運筆
3. 먹의 오색(墨有五彩): 濃淡乾濕黑,
4. 채색의 오색: 靑赤黃白黑
표현기법(表現技法)
1. 삼묵법(三墨法): 담묵(淡墨), 중묵(中墨), 농묵(濃墨)
2. 구륵법(鉤勒法) / 공필법(工筆法) : 외곽선 후 채색 vs 몰골법(沒骨法) : 채색만으로 외곽선 효과
3. 발묵법(潑墨法) : 먹을 떨어트려 자연스레 번지는 효과
vs 파묵법(破墨法) : 처음의 먹이 마르기 전에 덧칠하여 gradation을 얻는 것
4. 갈필법(渴筆法) : 습하지 않은 붓으로 vs 파필법(破筆法) : 끝이 갈라진 채로
vs 역필법(逆筆法) : 순필하지 않고
5. 중선법(重渲法) : 겹바림법 vs 훈선법(暈渲法): 한쪽 바림법(渲 – 바림 선. 바림 – gradation)
6. 선염법(渲染法) - 물을 바르고 먹을 발라 번지는 효과가 있음
7. 백발/백묘법(白拔/白描法) : 외곽선만 침 vs 비백법(飛白法) : 붓에 먹을 적게 바르고 운필을 힘있게
하면 자연히 붓의 중간중간에 공간이 생김
漢詩體
1. 六詩 : 주로 詩經에 나와있는 노래 - 風雅頌, 賦比興
風雅頌
- 풍(風): 민간에서 채집한 노래로 모두 160편 – 남녀간의 사랑이 주된 내용, 서정적.
- 아(雅): 궁중에서 쓰이던 노래, 小雅 74편, 大雅 31편, 교훈적, 서사적.
- 송(頌): 신과 조상에 제사드리는 노래. 주송(周頌) 31편, 노송(魯頌) 4편, 상송(商頌) 5편으로 구성.
賦比興
- 부(賦): 독창
- 비(比): 주고받는 노래(對唱)
- 흥(興): 멕이고 받는 노래(독창+중창)
2. 古體詩 : 당대에 완성된 근체시 이전의 시가. 시의 길이, 및 압운(押韻)이 자유롭고, 각 장의 구수(句數)도 불규칙하다
- 악부(樂府) : 민간민요의 가사. 잡언시(雜言詩)라 불리우며 자수와 구수가 정해지지 않은 완전 자유로운 형식과 구수(句數)는 정해져 있지 않고 자수만 정해진 칠언시 형식이 있다
- 고시(古詩) : 사언시(四言古詩)와 오언시(五言古詩) 그리고 칠언시(七言古詩)가 있다
3. 근체시
- 압운(押韻)과 글자의 평측(平仄) 字數와 句數를 엄격히 지켜야 한다 (四聲 : 한자음을 높낮이에 따라平•上•去•入의 넷으로 나눈 것)
- 절구(絶句) - 5언 절구, 7언 절구
- 율시(律詩) - 5언 율시, 7언 율시
- 배율(排律) - 5언 배율, 7언 배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