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cope
Ernst Schule International
11학년
양준수
2016. 5. 26
Microscope
Kevin
2016년 5월 26일
Ernst Schule International
11학년
目 次
Ⅰ. 序論...................................................................................................................1
1.연구의 方法과 範圍......................................................................................................................1
1) 方法............................................................................................................................................1
2) 範圍............................................................................................................................................1
Ⅱ. 현미경의 歷史..................................................................................................2
Ⅲ. 현미경의 種類..................................................................................................2
1. optical microscope....................................................................................................................2
2. electron microscope....................................................................................................................2
Ⅰ. 序論
1. 연구의 方法과 範圍
(1) 연구의 方法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고 세포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현미경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2) 연구의 範圍
˹Ⅱ. 현미경의 歷史˼에서 현미경을 만든 사람 그리고 현미경의 발전 등을 써보았다. ˹Ⅲ. 현미경의 種類˼에서 현미경의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어서 1번과 2번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구조와 특징을 써보았다.
Ⅱ. 현미경의 歷史
보통 렌즈를 하나로 통해서 물체를 확대하는 것은 돋보기라고 한다. 하지만 그것을 더 자세하게 보기위해서 렌즈를 두 개 겹쳐서 만들 것을 현미경이라고 한다. 최초의 현미경은 1590년에 안경사인 얀센에 의해서 발견이 되었다. 어느 날 우연히 렌즈가 두 개가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글씨를 보게 되었는데 글자가 廓大 되서 보이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얀센이 1590년에 볼록렌즈 2개를 이용하여 현미경을 만들게 되었다. 이 당시 현미경은 최대 10배까지 확대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미경을 실제로 使用한 사람은 Netherlands 의 레벤후크이다. 1660년에 그가 만들어낸 현미경은 270배까지 廓大를 할 수 있었으며 이 현미경으로는 박테리아까지 觀察을 할 수 있었다. 5년 후인 1665년에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훅이 더 좋은 성능을 가진 현미경을 발명해서 세포까지 볼 수 있게 되었다. 훅은 코르크를 관찰하면서 세포들이 작은 방처럼 생겼다고 하여 세포를 cell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또 1608년에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갈릴레이가 목성과 목성의 둘레를 도는 네 개의 위성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여기서 보통 Netherlands 의 레벤후크를 최초로 현미경을 만든 사람이라고 한다. 레벤후크는 자신의 연구 結果를 널리 알리지 않았지만 Netherlands 의 의사 그라프가 알게 된다. 그라프는 그 당시의 유럽에서 최고의 과학자들이 모임인 영국 왕립협회에 그를 소개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存在에 대해서 알린다. 이렇게 레벤후크는 1680년에 영국 왕립협회의 특별회원이 된다. 그는 자신의 結果를 바탕으로 1695년에 ‘현미경으로 밝혀낸 자연의 비밀’이라는 책을 出刊하기도 한다.
Ⅲ. 현미경의 種類
1. optical microscope
광학현미경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이용한다. 광학현미경은 전자현미경에 비해 확대율과 분해능이 떨어지지만 生物을 건조시키지 않고 확대시켜 觀察할 수 있다는 長點을 가지고 있다. 보통 광학현미경은 대물렌즈, 접안렌즈, 경통, 회전판, 재물대, 클립, 초점조절나사, 반사경으로 이루어져있다. 먼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이용해서 미세한 物體까지 관찰할 수 있게 확대시켜준다. 여기서 경통이 대물렌즈에서 접안렌즈까지 빛을 전달하는 통로가 된다. 보통 확대 배율은 대물렌즈가 1~100배이고 접안렌즈는 5~20배 정도로 종합배율은 두 개를 곱하여 약 2000배정도 확대시켜준다. 재물대는 자신이 관찰하고자 하는 物體를 올리는 곳이다. 확대 배율을 바꿀 때에는 회전판을 돌리면서 3개의 대물렌즈를 바꿔가면서 배율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재물대에 物體를 올릴 때에는 프레파라트를 올려서 클립으로 고정을 시켜야한다. 밑에 초점조절나사를 통해 焦點을 조절하여 관찰할 物體를 보이게 焦點을 맞추면 된다. 초점조절나사는 조동나사와 미동나사로 나눌 수 있다. 처음에는 조동나사로 초점을 어느 정도 맞추고 미동나사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焦點을 완벽하게 맞추어서 관찰을 하면 된다. 반사경은 빛의 方向을 조절하면서 物體를 더 정확히 관찰할 수 있게 도와준다. 광학현미경을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슬라이드글라스위에 物體를 올려야 한다. 이것을 프레파라트라고 부른다. 物體